부동산투자&이사준비

[이사후기] 이사업체와 입주청소 이사청소 사이청소 정하기

바영이 2024. 5. 1. 16:32

일단 이사할 집이 정해지고 나니 그 후로 해야 할 일들을 착착 진행시키는 중이다. 

 

순서는 

1. 집주인에게 나간다고 통보-집주인이 부동산에 집을 내놓았고-새로 들어올 세입자가 빠르게 결정되었으며 새로 들어올 세입자가 x월 xx일에만 가능하다고 하여 나도 그 일정에 맞추어 이사갈 집을 알아보았다

즉 내가 현재 살고 있는 집이 나가는 것과 날짜가 결정되는 것이 우선

2. 이사갈 곳 검색하기, 직접 가보기, 이사할 곳 확정

3. 이사할 곳 집주인과 전세계약서 작성

4. 이사업체 선정(필수), 입주청소(이사청소)업체 선정(선택)

 

트럭이 있어서 이사를 혼자 할 수 있다는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

또는 이삿짐이 정말 없어서 내가 다 옮길 수 있다는 극단적인 경우를 제외하면

 

이사업체는 무조건 정해야 한다

소중한 일상

다들 이삿짐업체를 어떻게 알아보지 했는데 마침 엘리베이터에서 '위매치다이사' 광고를 봤었고,

최근 이사한 친구한테도 물어보니 그 친구도 위매치로 정했다고 하길래 나도 위매치 어플을 깔아봤다

 

날짜만 결정되면 55일 전부터 알아볼 수 있다.

 

총 3개 업체를 추천해주는데, 이사업체도 그렇고 입주청소도 그렇고 2개 업체에서만 선 연락이 왔다.

 

이사업체는 견적을 보고 짐 양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시스템인데 시간을 맞춰야하니 조금 귀찮았다

그치만 확실히 직접 만나고 정하면 다르다는 걸 깨닫게 된다

 

사소한 것들? 꼼꼼히 보시는지 어떤지

그리고 대화하면서 느껴지는 성격이라던가, 견적서를 봉투에 담아 주시는지 파일철에 담아 주시는지 이런것도 조금씩 차이가 나서 느낌이 달랐다. 

 

두 번째로 오셨던 업체가 좀 더 나이도 있으시고 경험이 많아 보이고 꼼꼼하신 스타일이어서 그냥 거기로 연락하려고 하는 중... 하필 손없는 날이라서 좀 더 비싼 듯 하다. 어차피 가격은 거의 대동소이하여 150만원정도.

 

어쩔 수 없지.. 더 잘 될거라고 생각해야겠다

 

2개 업체만 보고 가신 거긴 한데 귀찮아서 그냥 다른 곳 견적 받지 말고 진행할까 싶다. 

 

*이사 나오시고, 내가 이삿짐을 들이기 전에 하는 청소는 정확히는 이사청소- '입주청소'가 아니고 '사이청소'라고 하는 듯 했다.

 

사이청소 문의하니 대기비용으로 10만원이 더 들어간다고 했다(이사업체에 주는 돈)

 

나의 경우 11시부터 3시까지 4시간 동안 사이청소가 진행된다.

 

입주청소 이사청소 불러야하나 1초정도 고민했지만, 

내가 화장실이며 신발장이며 다 할 성격도 아니고 그럴 능력도 없고 전문가에게 맡겨야 제일이다 싶으므로..

새 집에 깨끗하게 들어가고 싶어서 10만원 더 주더라도 짐이 다 빠졌을 때 빈집을 싹 청소하는 것이 맞는 선택이다 싶다. 

 

이사업체의 경우 당일에 이사하기가 그렇다면, 다음 날 거주청소로 진행한다고 했고 거주청소의 경우에는 24평 기준 10만원정도 더 싼 느낌이었다

 

24평 기준, 거주청소(이삿짐 들어온 후 이사 다음 날 진행되는 청소)는 26만원선, 집이 싹 비었을 때 하는 청소는 36만원선

 

이사업체에 추가로 줘야 하는 돈 10만원까지 생각하면, 거의 20만원 차이가 나지만...

 

짐이 싹 빠졌을 때 하는 청소가 맞다고 본다. 구석과 틈새까지 청소하려면 아무것도 없을 때 해야 확실할 것이다.

 

현재 마음에 두고 있는 이사업체로 정하면 큰 것들은 거진 정리되는 것 같다

 

이제 남은 큰 것은 전세대출 받는거 알아보기!

 

그리고 계속해서 짐 정리하기

 

당근 하느라 바쁜 요즘이다.